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리저널센터
- 미국대학지원
- 투자이민용어
- 미국인턴십
- 미국취업
- 트럼프유학
- 미국이민정책
- 국제학교트랙
- 자산관리
- 미국대학
- 미국경력
- 미국대선
- 미국명문대입학
- 투자이민
- 미국대학입시
- 국제학교졸업
- 미국생활
- 미국이민
- 해외유학
- 미국비자
- 미국등록금
- 미국영주권
- 미국유학
- 국제학교
- 미국의대
- 미국대학생인턴십
- 해외이민
- 취업이민
- 미국영주권취득
- 미국투자이민
- Today
- Total
미국 영주권&교육 컨설팅 전문가그룹 국제홀딩스
미국 주립 대학의 학비 비밀: In-State (1) 본문

안녕하세요
국제홀딩스의 Justina 입니다.
날이 많이 따듯해졌는데요,
미국도 그렇고, 한국의 대학생들도
모두 개강 시즌이네요!
오늘은 미국 대학 이야기,
특히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인
대학 등록금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보려 합니다.
여러분 미국 대학에서는
학교가 위치한 주州 에 살고 있었는지,
다른 주, 또는 다른 국가 출신인지에 따라
등록금 차이가 천차만별일 수 있다는 것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In-State 라고 부르는
미국 대학 등록금 제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n-State 제도가 뭔가요?

미국의 대학 시스템에서 In-State 제도는
미국 주립 대학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에게는
특히나 더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 제도는 해당 주에 거주하는 학생들에게
학비 혜택을 주는 것으로,
같은 대학이여도 학생들이 부담하는
학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미국의 교육비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많은 학생들이 경제적인 부담을 조금이라도
덜기 위해 In-State 혜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게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그럼 오늘 포스팅에서는
In-State와 Out-of-State 학비 차이,
신청 자격 요건, 그리고
Out-of-State 학생이 In-State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In-State vs. Out-of-State 학비 차이>

In-State 학생들이 등록금 측면에서
조금더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이유는
그 주의 세금으로 지원받기 때문에
가능하답니다.
예를 들어, 대표적으로,
캘리포니아 주립대학인 UC 버클리의 경우,
In -State 학생은 연간 약 15,000달러의 학비를 내지만,
Out-of-State 학생은 무려 48,000달러를 내야 해요!

이렇게 같은 대학에서 학비가 3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은 정말 큰 부담이 될 수 있죠.
이런 학비 차이는 주립대학의 재정 구조와
실질적인 관련이 있습니다.
주 정부는 주립대학에 재정 지원을 통해
In-State 학생들의 학비를 낮추는 반면,
Out-of-State 학생들은 이러한 지원을 받지 못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학비를 내야 해요.
따라서, 주립대학에 진학하고자 하는 학생들은
내가 거주하는 미국 주에 있는 대학에 지원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유리한 선택이 되겠죠?
그렇다면 IN-STATE 의 자격 요건은 따로 없나요?
(Residency Requirement)
그러면 학교가 있는 주에 살고 있기만! 하면
모~두 등록금 혜택을 볼 수 있다는 말일 까요?
그것만으로는 어려워요.
단순히 해당 주가 있는 고등학교에서
고등과정을 마쳤다고해서, 졸업했다고 해서
바로 In-State 자격이 주어지는 것은 아니예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조건들은
기본적으로 충족시켜야 합니다.
1. 최소 12개월 이상 해당 주에 거주:
해당 주에서 1년 이상 거주해야 합니다.
단순히 거주지 등록이 되어 있다던가,
학교에서 생활했다~ 하는 수준으로는 부족하고
정말 그 주에 있는 지역 사회
커뮤니티에 뿌리를 내리는 정도의 수준을 요합니다.
2. 소득세같은 세금 신고:
부모님이나 학생 본인이 해당 주에서
소득세를 신고한 기록이 있어야해요.
세금을 낸다는 것은
주 정부가 학생의 실제 거주지를
확인하기 위한 중요한 기준이 되기 때문이죠!
3. 자동차 등록 및 운전면허증 변경:
자동차 등록 및 운전면허증도
해당 주에서 발금한 것으로
갖고 있어야해요.
실제 운전면허증이 있다는 것은
그 주에서 활동을 한다는 의미로
본다는 것이니까요.
4. 기숙사 거주 제한:
기숙사에 살면서 대학을 다닌다고 해서
In-State 자격을 받을 수는 없어요.
부모님이 해당 주에 거주해야 가능합니다.
기숙사 생활만으로는 In-State 자격을
인정받기 어렵기 때문에,
학생들은 부모님의 거주지와 관련된 사항도
고려해야 합니다.

그러나
한국인 유학생과 같은 국제 학생(F1 비자)은
대부분 In-State 혜택을 받을 수 없어요.
영주권자나 시민권자가 아닌 이상,
유학생은 Out-of-State 학비를 내야 하므로
유의해야 합니다.
이러한 제약은 국제 학생들이
미국 내에서 학업을 이어가는 데 있어
추가적인 재정적 부담이 될 수 있다는 걸
알아두세요!
다음시간에는
Out of State 학생이 In state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방법
&
In state 제도를 운영하는
학교들의 등록금 리스트
와 같은 알찬 내용으로
다시 돌아올게요!!


'차근차근 영주권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이민 궁금한걸? 그렇다면 알아야 할 핵심 용어들만 콕콕!(1) (1) | 2025.04.01 |
---|---|
미국 주립 대학의 학비 비밀: In-State (2) (0) | 2025.03.13 |
미국 투자 이민 과정 중, 상속 후 재산 관리 법 (0) | 2025.02.19 |
미국 의학 특별 프로그램 BS/MD 미국 의대 학교 리스트 (0) | 2025.02.13 |
한국에서 미국 의대 가려면 꼭 알아야 할 BS/MD 프로그램 (2) (0)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