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미국이민
- 미국인턴십
- 국제학생미국의대
- 미국대학입시
- 미국대학
- 투자이민
- 가족법인활용
- 미국비자
- 미국명문대입학
- 미국경력
- 미국대선
- 미국의대
- 미국유학
- 미국유학생향방
- 미국생활
- 해외유학
- 리저널센터
- 트럼프유학생
- 미국영주권
- 국제홀딩스
- 미국취업
- 도널드트럼프정책
- 자산관리
- 해외이민
- 국제학교졸업
- 미국대선이민정책
- 국제학교트랙
- 미국이민정책
- 취업이민
- 국제학교
- Today
- Total
미국 영주권&교육 컨설팅 전문가그룹 국제홀딩스
미국 투자 이민 과정 중, 상속 후 재산 관리 법 본문
안녕하세요
국제홀딩스의 Justina 입니다.

오늘은 미국 투자 이민 과정 중에
혹시나ㅜ 부모님이 돌아가셔서
불가피하게 상속 과정을 밟게 되는 경우엔
여러가지 어려운 문제들이 생겨날 수 있습니다.
특히 상속이란
단순히 재산을 물려받는 것이 아니라,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법적,
세무적 이슈를 함께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사안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남아있는 채권과 관련된
상속세 문제는 상속인들에게는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러가지 정보들을
많이 알아보고, 이후 상황들에
대처 또는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죠.
우선, 상속세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고려할 우선 순위중 높은 순위는
무엇일까요?
바로 채권의 규모입니다.
예를 들어, 가족법인을 둔
한 아버지의 채권이
30억원이라고 가정해 볼게요.
만약 이 아버지에게 자녀가 3명이라면
3명의 자녀인
학동이, 하동이, 희동이에게
각각 10억원씩의 채권이 상속됩니다.
이때 학동이, 하동이, 희동이는
채권자로서의 지위
+
채무자, 인 가족법인의 주주가 됩니다.
그렇기에 형제 간에
상환을 요구할 필요가 없으며,
채권의 연속성이 유지된다는
의미를 갖습니다.
즉, 아버지에 의한
가족 간의 재산이 단절되는 것이 아니라,
상속된 이후에도
일정한 형태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와 관련된 중요한 개념이
바로 '채무상계'입니다.
채무상계란 두 당사자가
서로에게 채무를 가지고 있을 때
이를 공제하여
채무를 정산하는 방식입니다.
자녀가 부모님에게 N원의 채권을 가지고 있고
부모님이 자녀에게 N원의 채무가 있다면,
이를 상계하여
현금이 오가지 않아도 된다는 것입니다.
이런 경우에 있어서는
세금 문제도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상속세 부담을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가족법인 수익을 활용해 상속세 납부하기]
이번에는
가족법인에서 발생한 수익을 활용해
상속세 납부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가족법인이 수익이 나면
일반적인 배당으로 수령하는 방법이 아니라
채권상계 방식으로 상속세를 납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학동이, 하동이, 희동이가
30억 원의 자산을 기업 형태로
상속받는 경우, 생명보험에 가입해 두고
상속이 발생하면
보험금으로 상속세를 납부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상속세를
면제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학동이, 하동이, 희동이가 있는
가족법인이 상속세를
대신 낼 수는 없지만,
아버지에게 채무를 상환한다는
형식을 통해 현금을 확보하고,
상속세를 납부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학동이, 하동이, 희동이
세 형제가 눈여겨 봐야할 것은
무엇일까요?
종합적인 검토입니다.
재정상황, 가족 상황, 재산 규모 등을
충분히 파악하고
이러한 방법들이 적용 가능한지
시뮬레이션하는 과정이 필수적입니다
학동이,하동이, 희동이가
상속 받은 후
남은 자산이 충분한지,
또는 상속세를 납부할 수 있는
여력이 있는지를 미리 점검해야 합니다.
그리고 상속 과저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법적 문제들도 사전에
검토가 필요하겠죠?
혹시나 학동이, 하동이, 희동이
사이에서 갈등이나 분쟁이
발생한다면, 상속 절차가 복잡해집니다.
따라서 상속인들 간의
원만한 합의가 필요하기에
전문적인 법률 자문을 받는것을
추천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증여상속세 절세 전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만약 부모님뿐만 아니라
고모나 이모, 삼촌과 같은
부모님의 형제에게도 자금을 대여한 경우,
이 자금이 합산되어 증여세가 과세됩니다.
하지만 대여한 사람이 다르면
각각 따로 계산되기 때문에
가족법인을 활용할 경우
합법적으로 수익을 이전할 수 있는
방법이 됩니다.
이렇게 오늘은
미국 투자이민 진행과정에서
가족법인이 설립되어 있었다면,
예기치 못한 상속을 받아야 할때
세무 문제를 어떻게 풀어 나갈 것인지에 대한
전략은 매우 중요합니다.
다음 시간에 만나요!
'차근차근 영주권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의학 특별 프로그램 BS/MD 미국 의대 학교 리스트 (0) | 2025.02.13 |
---|---|
한국에서 미국 의대 가려면 꼭 알아야 할 BS/MD 프로그램 (2) (0) | 2025.02.11 |
한국에서 미국 의대 가려면 꼭 알아야 할 BS/MD 프로그램 (1) (2) | 2025.02.06 |
미국 투자이민 시작부터 영주권 취득까지의 모든 기다림의 과정! (0) | 2025.01.24 |
H1-B (취업 비자) 사전 등록! 놓치지 않겠다면? (0) | 2025.01.15 |